국내그린IDC’ 첫 발 내디뎠다

호 스트웨이IDC(대표 김성민 www.hostway.co.kr)가 분당 데이터센터 5층 전층 2600( 800)을 최신 설비를 갖춘 차세대 데이터센터로 확충했다. 새롭게 오픈한 차세대 데이터센터는 그동안 주요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전력 공급 및 냉각 비용의 과제를 해결한 것이 백미로 꼽힌다. 또한 랙당 소비 전력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업계 최초로 랙당 2.2Kw에서 4.4Kw로 전력 공급을 2배로 늘린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이로써 전통적인 방식의 데이터센터 방식에서 벗어나그린IDC’로 나아가는 첫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취재_김완선 기자



 그린IT’

가 업계의 이슈화가 되고 있는 가운데, 모든 업체들이그린전략을 표방하고 나섰다. 프로세서 업체에서부터 하드디스크, 주변기기, PC 및 서버, 스토리지 업체까지 전력 절감은그야말로 IT업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화두가 된 지 오래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시스템들을 총체적으로 결집해놓은 허브 역할을 하는 IDC(인터넷데이터센터)는 논외의 대상이나 마찬가지였다. 그것은 2000년 무렵에 건축된 수많은 IDC들이 IT업체가 아닌 건설업체들이 지은 것들이라 IT의 관점이 배제되어 설계됐기 때문이다.
서버나 스토리지 장비들이전기 먹는 하마로 불릴 만큼 전력을 많이 소모하고 있는데, IDC의 전체 전력에 비하면새 발의 피나 다름없다.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로 하는 전력도 엄청나겠지만 이러한 장비들을 식혀주고 항온항습을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전력은 상상을 초월한다는 게 데이터센터 관계자들의 답변이다. 어느 조사에 따르면, 국내 대형 IDC들은 지난해 기준으로 한해 평균 50억 원이 넘는 전기료를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 배경

가트너의 발표에 의하면, 데이터센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열과 전력이 55%에 달한다. 전력과 냉각 비용이 서버 구입비용을 초과하고 있는 것이다. 2006년부터는 예측 가능한 형태가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전력 및 냉각 관련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00년도 초반부터 생겨난 데이터센터는 전통적 설계 방식이 대부분이고, IT 회사가 아닌 건설회사에서 하다 보니 인프라 환경이 블레이드 서버 등으로 발전하는 것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박흥배 호스트웨이 IDC센터장은 말했다.
호스 트웨이IDC는 데이터센터 내 시스템 입주율이 70%에 육박하고 비즈니스 확장 및 공격적인 영업을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기존 데이터센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섰다. 하드웨어 기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해감에 따라 대용량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효율적인 항온항습 시스템이 절실해진 탓이다
.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호스트웨이IDC 2006 10월부터 검토에 들어가 한국IBM을 주요 사업자로 선정하고 지난 2007 12월에 최종적으로 구축을 완료했다. 구축 과정에서 기존에 3층과 4층에만 서버룸이 있던 것을 입주사 사무실과 편의시설이 있는 5층을 서버룸으로 변경하고 확충했다
.
호 스트웨이는 이번 차세대 IDC 오픈을 통해 기존 3, 4층의 데이터센터에서 5층까지 서버룸공간을 확충함으로써 신규 고객을 위한 비즈니스 공간을 추가로 확보했다. 뿐만 아니라 옥상과 지하에는 별도의 냉각탑과 발전실을 비롯한 구조보강 작업을 통해 선진 데이터센터의 인프라를 갖췄다.

차세대 IDC 인프라 갖춰

호 스트웨이IDC 200억 원의 비용을 들여 이번에 구축한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가장 큰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랙당 전력 공급량을 4.4Kw로 늘려 고밀도화를 실현했고, 둘째는 열섬 방지용 랙 배치와 외기 시스템의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화를 구현했으며, 셋째는 모듈형 UPS의 도입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실현했다는 점이다.
우선 차세대 데이터센터는 랙당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업계 최초로 기존 랙당 2.2Kw에서 4.4kw 2배의 전력을 공급하는 고밀도 시스템을 갖췄다. 이는 갈수록 블레이드 서버와 같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음에도 데이터센터에서 이를 지원해주지 못하는 사례들을 예방하자는 차원에서다
.
특히 데이터센터의 공기가 뜨거워지는 열섬현상(heat island) 방지를 위해 서버의 앞면이 마주보는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뜨거운 표면의 공기가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천장으로 빠져 나갈 수 있게 설비했다. 천장의 높이는 최소화했으며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덕트 (duct :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를 설치한 것도 특징이다. 기존의 3, 4층에 있는 서버룸은 바닥과 천장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열기 재순환 및 핫스팟으로 인해 리스크가 발생하는 등 효율적으로 열을 분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
박흥배 센터장은 “5층만 공사한 것은 아니고, 1, 2, 4, 5층과 옥상도 같이 공사했다. 3층의 경우 하나의 입구로 통하면 전부 출입이 가능한데, 5층은 통로를 중심으로 2개로 나누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항온항습이 양쪽에 배치되는데, 문제점은 핫스팟이 도달하는 거리가 10~15미터인데 그것을 넘어선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간에 위치해 있는 서버들은 뜨거운 공기를 식히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버룸을 크게 두 개로 나누고, 항온항습기를 가운데 하나 더 배치함으로써 열섬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레이아웃으로 설계했다고 전했다
.
또한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시스템을 구축, 동절기(11월부터 3월까지)에는 차가운 공기를 유입, 항온항습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냉각설비 동력비용을 절감은 물론 환경친화적인 효율적인 체계를 갖췄다. 기존의 전통적인 데이터센터들은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를 다시 차갑게 만들어 다시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외기 도입시스템의 도입으로 호스트웨이IDC는 기존 방식보다 27.9%의 전력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모듈형 무정전공급장치(UPS) 도입 또한 신축 데이터센터의 대표 특징 중 하나다. 전체 서버룸을 30여 개로 나누어 하나의 UPS가 담당하는 구역이 기존보다 세분화돼, UPS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타 구역은 영향을 받지 않아 장애 위험성이 현저히 낮다. 모듈형 UPS의 도입으로 장애요소를 최소화하고, 초기 투자비를 절감함은 물론 유지보수비도 절감할 수 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
의 구현도 돋보인다. 전산실 내의 UPS, 온습도 감지센서, 항온항습기, 감시카메라, 전력 사용, 냉각탑 설비 등 각각의 설비에 대해 24시간 모니터링하며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축으로 데이터센터의 종합적인 자동화 관리가 가능해졌다.

선도 IDC로 거듭난다

인 터넷이나 IPTV 등 다양한 영역에서 IDC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통신과 방송을 아우르는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IDC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그럼에도 그동안 국내 IDC들은 공간, 전력, 항온항습에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이번 호스트웨이IDC의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은 IDC 업계가 한 단계 도약하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업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호스트웨이 측도 이를 계기로 토털 IT서비스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호스트웨이IDC는 이번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이 세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한다. 첫째는 고밀도 데이터센터 설계 기술이 국내 시장에 대규모로 적용된 첫 사례이고, 둘째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자체적 개선 방안 마련을 통해 그린 IT를 실현했고, 마지막으로 IDC업계를 선도하는 선진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
지난해 300억 원의 매출 올린 호스트웨이 IDC는 올해 350억 원 매출을 계획하고 있다. 엔터프라이즈(IT아웃소싱, 컨설팅)와 리테일(통합보안, 프리미엄 매니지먼트), 모바일(B2C 시장, 서비스 중심 마케팅) 세 가지 영역의 사업 분야에서 고른 실적을 예상하고 있다
.
김 성민 호스트웨이IDC 대표는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인프라와 차별적인 기술력 갖추게 됐다 “2008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신규 서비스 고객을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과 서비스 제공으로 토탈 IT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 IDC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액세스 플로우-하부 배선

Interview

선도적그린IT’
자부심 느낀다

랙당 전력 공급을 두 배로 늘린 이유는?
랙 당 소비 전력은 2006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완화하고 있다. 전기료를 절감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들이 전력을 줄인 것이다. 데이터센터에 있는 90% 이상의 서버들은 1U 계열의 서버들인데, 이들 1U x86서버가 스토리지보다 전력을 더 많이 먹는다. 또한 서버 업체들이 출시하고 있는 블레이드 서버들도 전력 부족의 이유로 채용을 꺼려온 것이 사실인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

외기 도입시스템이 독특한데
….
기존 대비 전력 사용량을 27.9% 절감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은 실치에 가까운 수치이다. 동절기에 실외 낮은 공기 온도를 실내로 유입해 냉방에 활용함으로써 공짜 공기를 쓰는 것이다. 항온항습기들이 전력소비가 많이 드는 이유는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만들어줘야 하기 때문이다. 전산실 내부로 들어갈 때 필요한 공기를 그대로 넣어주는 개념이다
.

모듈형 UPS 시스템을 도입한 이유는
?
UPS
시스템 역시도 기존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개념이다. 대부분 대용량의 UPS들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경우 UPS에 한번 장애가 발생하면 전부 다운될 수밖에 없다. 구역별로 모듈형 UPS 30개의 서버룸에 나누어 배치했는데, 인접 서버룸에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모듈형 UPS는 기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UPS도 언제든지 탈, 부착이 가능하며, 핫스왑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

데이터센터 재구축으로 전기료 산정 방식도 달라졌을 것 같은데
….
전 세계적으로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에 제재를 가하는 것이 추세이다. 전기를 많이 쓰는 데이터센터들이 전기를 깎아달라는 건 어불성설이다. 우리는 무리한 요구를 하는 방식이 아니라 적게 쓰도록 노력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랙에 더 많은 서버가 배치되다 보니 랙당 차지되는 과금체계에 대한 변경이 불가피하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설계된 IDC는 종량제로 변경하기가 힘들다. 시스템들을 모두 스톱시킨 다음에 다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차세대 데이터센터는 전력도 서비스의 일부로 보고 있다.

 

The Green Grid is a consortium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ies and professionals seeking to lower the overall consumption of power in data centers around the globe. The organization is chartered to develop meaningful, platform-neutral standards, measurement methods, processes and new technologies to improve energy efficient performance of global data centers.


Membership to The Green Grid is open to those compan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with an interest in helping to support the movement to improve data center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 overall efficiency.

이산화탄소를 줄입시다.


Image courtesy of flickr user A guy with A camera used under Creative Commons



수출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에 대한 혜택도 점점 축소되어 가고 있다. 즉, 나라의 경제를 선진국의 반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올해는 우리가 수출을 이렇게 많이 해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제조원가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연료비(전기사용료)에 대해서 산업용 전력이라는 이름으로 상당부분 혜택을 받아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곧 2010년대에 접어들면 이 공업용 전기사용료를 일반전기사용료와 대동소이하게 만들어 갈 것임을 발표했고, 실제 한해 전기사용료가 쌍용의 코란X, 대우의 레X 와 같이 세제의 혜택을 받다가 오르고 있는 자동차세와 같이 일제히 인상되고 있다.

즉,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이니 전력을 더 싸게 공급해주십시오. 라는 논리가 더 이상 먹혀들어가지 않는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왜? 지구 온난화, 환경이 그 이유이다. 이미 약 30여개의 선진국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서 강제적으로 감소에 대한 쿼터를 부여받고 이를 실천하고 있으며, 할당된 감소량을 채우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일본의 경우 약 1800억원가량의 온실가스 배출권을 헝가리로 부터 양수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처음 이런 보도를 접하면서 봉이 김선달이 대동강물을 팔아먹는 것과 뭐가 다른지 의아해했던 기억이 있다.

교토의정서가 규정하는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인 일본은 2012년까지 1990년의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6% 줄여야 한다. 1990년 12억7200만톤이었던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4년 13억5500만톤으로 증가했다가 현재 13억7600만톤까지 늘었다. 지난 17년간 8% 늘어난 것이다.

일본 자체적으로 배출량을 줄여서 감축 할당량을 달성하기는 이미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관측이 지배적이기때문에 일본이 할당량을 맞추려면 외국에서 배출권을 사들여올 수밖에 없다. 꼭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고 개도국에 에 신재생에너지등에 투자해 온실가스배출권을 획득하는 청정개발체제(CDM)실적도 있고, 다른 나라의 CDM을 사오는 방법도 있긴하다. 일본도 이미 CDM을 통한 배출 실적을 외국으로 부터 구매를 해왔지만, 이번에 헝가리와 다시 MOU를 체결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왜? 싸니까!
왜? 쌀수 밖에 없는지를 보면 교토협정서에 의하면 탄소감축량은 1990년을 기준으로 하는데, 1990년에 탄소를 많이 배출하다가 지금은 그 기준시점보다 더 작게 배출하는 나라를 찾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 딱 들어맞는 곳이 구. 소련의 주축으로한 동유럽국가들이다. 이 나라들은 1990년까지 산업화가 활황이어서 탄소배출이 많다가, 소련연방의 해체와 함께 산업화가 극심한 침체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좋다. 하지만 여기에 또 문제가 하나 있다. CDM이든 탄소배출권이든 이것들들 매매하는 이유는 이미 지구에 대다수의 탄소를 배출하는 나라들이 탄소를 도저히 줄일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거래관계들이다.

 지구 온난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나라로 부터 돈을 주고 합법적으로 탄소를 더 배출하겠다라는 이해관계가 성립이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선진국들의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키자라는 취지가 몇가지 대체수단에 의해서 그 기본 취지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라는 화두가 2000년 초반부터 서서히 두각면서 한국의 많은 기업들도 이에 동참을 하는 듯해 보인다.

물론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사견으로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기업이미지를 재고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책임위주로 흘러가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사회환원책이 축적한 수익의 일부를 불우한 환경을 가진 이웃이나 기업이 속한 산업군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오지(?)에 봉사를 하는 등으로 신문지상이나 공중파로 홍보되고 있음을 누구나 다 안다.

최근들어 에너지효율이라는 것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동안 나의 관심밖이었거나 혹은 전혀 다른 세상으로 지각하고 있던 것들에 흥미를 가지기 시작했고, 그 중의 하나가 Climate Savers Computing Initiative 이라는 단체이다.

아래는 Climate Savers Computing Initiative 웹사이트의 메인에 노출되고 있는 문구이다.
 

믿든 믿지 않든, 평균적으로 PC가 사용하는 전기의 절반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즉, PC한대를 위해 100의 전기가 사용된다면, 실제 50의 전기량은 PC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낭비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절반! 이 낭비되는 전기는 컴퓨터에 공급되는 전기사용료를 증가시키고, 또한 온실 가스의 방출을 증가시킵니다. - 한국의 경우 약 50%의 전력이 화력으로 생산되고, 이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온실가스의 주된 요인이 된다.

컴퓨터들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것은 전기 소비를 감소 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며,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 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됩니다.

Climate Savers Computing Initiative는 산업, 소비자 그리고 관련 단체들과 함께 컴퓨터와 서버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함께합니다.



Climate Savers Computing Initiative 는 무엇인가? 2007년에 Google와 인텔에 의하여 시작된 Climate Savers Computing Initiative 는 에너지 소비자, 사업자들로 구성된 환경보존을 위한 비영리 조직입니다.

이 조직은 WWF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등의 기후보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999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컴퓨터의 유휴시간동안의 에너지 절감과 에너지 전달에의 진보한 기술을 개발하고 전파하여 확장하는데 있습니다.

Mission : possible

2010년까지, 우리들은 년간 5400만 톤의 컴퓨터 사용으로 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절감할 것이며, 이 것은 1100만대의 자동차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혹은 10~20 개의 화력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와 맞먹는 양입니다.

당신의 도움으로, 이 노력은 2010년까지 컴퓨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50% 를 감소할 것이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체의 에너지 비용 중 55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