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에는 IT 환경이 기업의 업무는 물론, 우리 가정생활에까지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이러한 IT 환경을 도식화 해보면, 전 세계 어디서든 인터넷이라는 그물 망에 데이터센터라는 구조물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는 물류 시스템의 근간인 도로나 창고설비와 같이 그 자체로서 가치가 매우 클 뿐  만 아니라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요구와 변화에 아주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구조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통신 환경의 변화와 함께 주고받는 데이터가 2차원적인 문자 중심에서 비주얼한 미디어 형식 등 3차원으로 변화되면서 컴퓨팅 요구의 급속한 변화를 무리없이 처리하기 위해 실제로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의 눈부신 성장만큼이나 데이터센터도 양적으로 성장을 계속해 왔다.

데이터센터들은 이러한 양적 팽창으로 인해 그 동안 경험해본 적이 없던 몇 가지의 문제점들 앞에 봉착하게 됐다. 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사업 모델을 혁신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최근 들어 차세대 데이터센터, 그린 IDC 등과 같은 타이틀을 달고 각종 세미나들이 줄지어 개최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이 점점 더 고성능의 시스템을 요구하게 되면서, 보다 작아지고 고성능화 된 시스템들이 데이터센터로 집중되고 있다. 또 이로 인해 전기 용량이 부족해지고 발열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기하급수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데이터센터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이와 같이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크고 작은 데이터센터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부의 데이터센터는 물리적인 고도화와 함께 전 산업군에서 새해 벽두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이슈인 에너지 효율에 대한 심도있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호스트웨IDC의 외부 공기 도입 시스템과 KT에서 신축중인 목동ICC의 직류(DC) 공급과 같이 에너지 절감형 데이터센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데이터센터들의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해 얼마나 많이 공급해줄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었다면, 같은 시기에 선진국에서는 이미 데이터센터 사업자를 포함한 IT 기업들이 주축이 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전력을 제공해 줄 수 있을까를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었다.

, 그 동안 한국의 데이터센터들이 전력량에 매달려 있었다면, 이제는 효율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데이터센터에서 주로 전력을 소비하는 것은 IT 부하량인 컴퓨터 장비와 건물 부하량인 항온항습기를 들 수 있다.

데이터센터는 설비의 효율적인 운용이나 에너지 효율을 위한 투자 확대 등을 통해 항온항습의 운영에 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나머지 약 50%에 해당하는 서버 시스템의 전력 효율은 고효율 제품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의식 변화, 벤더의 노력, 저전력 제품 생산 등과 같은 노력이 적극적으로 전개돼야 한다.

정부 또한 이같은 문제를 풀기 위해 PC나 서버와 같은 제품에 대해서도 가전제품과 같이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정책적으로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조금 늦은 듯 싶기도 하지만, 지금이라도 이와 같이 관련 업계와 정부 모두 인식을 전환하고 에너지 절감을 위해 재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은 누구 하나의 노력으로 결코 성공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모두가 공감대를 갖고 공동으로 노력해야 성공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말 늦은 밤에 우연히 재앙을 주제로 다룬 다큐를 보게됐습니다.

남태평양에 위치한 여의도의 두배정도되는 나우루라는 섬나라가 있습니다. 희소성이 있는 자원의 수출로 한때 가정마다 평균적으로 고급캐딜락을 두대씩 보유하고, 각종 고급 가전제품이 그득할 정도로 부유하다가 불과 20~30여년만에 최빈국이 되고, 이런 과정이 현재 지구가 가고 있는 방향과 아주 닮아있다.
 
이를 통해서 닥쳐올 재앙에 대해서 경고하고 깊게 생각해보게 하는 내용입니다.

아래는 방송되었던 "재앙"의 웹사이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1)지구의 축소판, 나우루

나우루는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다. 전체 면적이 21 평방킬로미터. 여의도의 두 배가 조금 넘는 크기다. 이 섬은 인광석이라는 광물을 팔아 엄청난 부를 누렸다. 1980년대 나우루의 1인당 국민소득은 3만 달러에 달했다. 걸어서 네 시간이면 섬을 한 바퀴 돌 수 있는데도 집마다 자동차를 두세 대씩 사들였고 고급 가전제품으로 집을 채웠다. 1995년부터 감소한 인광석은 2003년에 완전 고갈되어 국가는 파산상태에 빠졌다. 나우루가 겪고 있는 위기는 경제 파탄 외에도 여러 가지다. 인구는 독립당시 5천명에서 1만 명으로 늘었다. 채굴을 위해 나무를 베어버려 섬의 2/3이 황무지가 되면서 가뭄이 이어지고 있다. 자기 땅에서 나는 먹을거리는 모두 사라지고 바다 건너 들여오는 가공식품에만 의존한 나우루 인들의 식량위기는 언제든 터질 수 있는 시한폭탄이다. 과도한 차량이용과 가공식품 섭취로 인구의 90%가 비만에, 50%가 당뇨에 시달리는 나라가 됐다. 인광석에 의존해 풍요를 누렸지만 파탄상태에 빠진 나우루는 석유라는 유일 자원에 의존해 역사상 최고의 풍요를 누리고 이제는 기후위기와 석유정점위기를 함께 맞고 있는 지구의 축소판이다.

(2)소비한다는 것, 잘 산다는 것

피터 멘젤은 세계 30여개 나라 200여 가족의 먹을거리와 살림살이를 들여다 본 두 권의 사진집을 낸 다큐멘터리 사진작가이다. 그에 따르면, 어느 나라든 대부분의 사람들이 먹을 것이 있고 안전한 집이 있으며 자녀들의 미래가 있을 때 가장 행복함을 느끼지만 계속해서 물건을 사들이고 소비를 늘려간다고 한다. 그의 시선을 따라 차드, 중국,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의 중산층들이 사는 모습을 들여다보고 소비하는 것과 잘 산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본다.

(3)마트와 신도시, 한국판 도시 스프롤

많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과 풍요의 공식은 사실 대부분 미국에서 만들어져 세계로 확산된 미국적 생활방식이다. 한국인들은 넓지 않은 땅에 살면서도 미국인들을 흉내 내며 너도 나도 자동차를 사들였고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해왔다. 도시를 개발하는 정책 담당자들은 자동차 가진 사람을 기준으로 도로부터 뚫었고 신도시와 시가지가 개발될 때마다 어김없이 대형마트가 들어섰다. 모두 미국인에게 익숙한 것들이다. 결과적으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빨리 이산화탄소 배출을 늘려가는 나라이자 석유를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많이 쓰며 자동차 대당 주행거리는 미국을 앞질러 세계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그런데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이런 방식은 사실 미국 자동차 회사와 석유업자들의 농간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1932년 미국 자동차 회사 GM은 UCMT(United Cities Motor Transit)이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UCMT는 마을마다 시내 전차노선을 매입해 해체시킨 뒤 디젤 버스로 그 노선을 바꿨다. 1936년에 자동차 회사 GM, 타이어 회사 파이어스톤, 석유회사 스탠더드 오일은 LA와 여러 도시에서 전차 시스템을 해체시켰다. 1956년에는 45개 도시들이 전차 철도 시스템을 해체했다. 그 결과 미국인 대다수는 운송 수단으로 자가용을 선택하게 됐다.

(4)미국의 수소경제론, 유럽 일본의 태양에너지, 풍력발전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최근 수소경제와 바이오 에탄올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대체에너지로 거론되는 여러 가지 중에 태양에너지와 풍력은 빼놓았다. EU는 태양에너지와 풍력발전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유가 뭘까?

독일의 슐레스비히-홀스타인 주에서는 농민들이 삼삼오오 조합을 만들어 풍력발전기를 세우고 있다. 여기서 나온 수입이 축산업을 하는 원래 소득보다 많다. 농민들은 이 전기를 자기들이 생활하고 농장을 돌리는데 쓰고, 남은 것을 전력회사에 판다. 독일의 풍력발전은 1980년대 대규모 투자 이후 실패를 겪고 소규모 지역개발로 바꾼 다음부터 성공을 거두고 있다. 프라이부르크의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호텔이라 하는 오성급 빅토리아 호텔에서는 태양열 집열판과 바이오매스만으로 호텔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전력을 충당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는 생태도시로 세계적인 이름을 얻고 있다.

미국의 수소에너지는 수소를 만드는데 원자력발전소와 석탄발전소를 활용하는 구조이다. 기존 자동차업계와 에너지업계의 거대한 인프라도 최대한 살려갈 수 있는 방식이다. 한국도 2003년 수소경제시대를 추진하기로 했다. 원자력발전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겠다는 면에서 미국과 일치한다. 소규모 분권적인 풍력, 태양열 등의 재생에너지와 대규모 투자와 석탄, 원자력 사용이 필요한 수소경제 중 어떤 것이 우리에게 적합하며 보다 미래적인 것인가? 우 리는 어느 길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

'존스씨법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타 디젤 연비  (0) 2009.06.11
국가원수 모독에 대한 수사를 부탁 드립니다.  (0) 2009.06.05
15일 동안 방안에 갇혀서 욕만먹고 있으면 어떻게 될까?  (0) 2009.03.19
소나타 디젤 참조  (0) 2008.09.24
My dream.  (0) 2008.05.06
HOW RICH ARE YOU?  (0) 2007.11.27
첫눈에 대한 감성사전  (0) 2007.11.22
How do you get rid of stress ?  (0) 2007.10.04
speech  (0) 2007.09.16
금연의 건강상 유익한 점  (0) 2007.03.14

국내그린IDC’ 첫 발 내디뎠다

호 스트웨이IDC(대표 김성민 www.hostway.co.kr)가 분당 데이터센터 5층 전층 2600( 800)을 최신 설비를 갖춘 차세대 데이터센터로 확충했다. 새롭게 오픈한 차세대 데이터센터는 그동안 주요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전력 공급 및 냉각 비용의 과제를 해결한 것이 백미로 꼽힌다. 또한 랙당 소비 전력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업계 최초로 랙당 2.2Kw에서 4.4Kw로 전력 공급을 2배로 늘린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이로써 전통적인 방식의 데이터센터 방식에서 벗어나그린IDC’로 나아가는 첫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취재_김완선 기자



 그린IT’

가 업계의 이슈화가 되고 있는 가운데, 모든 업체들이그린전략을 표방하고 나섰다. 프로세서 업체에서부터 하드디스크, 주변기기, PC 및 서버, 스토리지 업체까지 전력 절감은그야말로 IT업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화두가 된 지 오래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시스템들을 총체적으로 결집해놓은 허브 역할을 하는 IDC(인터넷데이터센터)는 논외의 대상이나 마찬가지였다. 그것은 2000년 무렵에 건축된 수많은 IDC들이 IT업체가 아닌 건설업체들이 지은 것들이라 IT의 관점이 배제되어 설계됐기 때문이다.
서버나 스토리지 장비들이전기 먹는 하마로 불릴 만큼 전력을 많이 소모하고 있는데, IDC의 전체 전력에 비하면새 발의 피나 다름없다.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로 하는 전력도 엄청나겠지만 이러한 장비들을 식혀주고 항온항습을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전력은 상상을 초월한다는 게 데이터센터 관계자들의 답변이다. 어느 조사에 따르면, 국내 대형 IDC들은 지난해 기준으로 한해 평균 50억 원이 넘는 전기료를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 배경

가트너의 발표에 의하면, 데이터센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열과 전력이 55%에 달한다. 전력과 냉각 비용이 서버 구입비용을 초과하고 있는 것이다. 2006년부터는 예측 가능한 형태가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전력 및 냉각 관련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00년도 초반부터 생겨난 데이터센터는 전통적 설계 방식이 대부분이고, IT 회사가 아닌 건설회사에서 하다 보니 인프라 환경이 블레이드 서버 등으로 발전하는 것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박흥배 호스트웨이 IDC센터장은 말했다.
호스 트웨이IDC는 데이터센터 내 시스템 입주율이 70%에 육박하고 비즈니스 확장 및 공격적인 영업을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기존 데이터센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섰다. 하드웨어 기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해감에 따라 대용량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효율적인 항온항습 시스템이 절실해진 탓이다
.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호스트웨이IDC 2006 10월부터 검토에 들어가 한국IBM을 주요 사업자로 선정하고 지난 2007 12월에 최종적으로 구축을 완료했다. 구축 과정에서 기존에 3층과 4층에만 서버룸이 있던 것을 입주사 사무실과 편의시설이 있는 5층을 서버룸으로 변경하고 확충했다
.
호 스트웨이는 이번 차세대 IDC 오픈을 통해 기존 3, 4층의 데이터센터에서 5층까지 서버룸공간을 확충함으로써 신규 고객을 위한 비즈니스 공간을 추가로 확보했다. 뿐만 아니라 옥상과 지하에는 별도의 냉각탑과 발전실을 비롯한 구조보강 작업을 통해 선진 데이터센터의 인프라를 갖췄다.

차세대 IDC 인프라 갖춰

호 스트웨이IDC 200억 원의 비용을 들여 이번에 구축한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가장 큰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랙당 전력 공급량을 4.4Kw로 늘려 고밀도화를 실현했고, 둘째는 열섬 방지용 랙 배치와 외기 시스템의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화를 구현했으며, 셋째는 모듈형 UPS의 도입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실현했다는 점이다.
우선 차세대 데이터센터는 랙당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업계 최초로 기존 랙당 2.2Kw에서 4.4kw 2배의 전력을 공급하는 고밀도 시스템을 갖췄다. 이는 갈수록 블레이드 서버와 같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음에도 데이터센터에서 이를 지원해주지 못하는 사례들을 예방하자는 차원에서다
.
특히 데이터센터의 공기가 뜨거워지는 열섬현상(heat island) 방지를 위해 서버의 앞면이 마주보는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뜨거운 표면의 공기가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천장으로 빠져 나갈 수 있게 설비했다. 천장의 높이는 최소화했으며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덕트 (duct :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를 설치한 것도 특징이다. 기존의 3, 4층에 있는 서버룸은 바닥과 천장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열기 재순환 및 핫스팟으로 인해 리스크가 발생하는 등 효율적으로 열을 분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
박흥배 센터장은 “5층만 공사한 것은 아니고, 1, 2, 4, 5층과 옥상도 같이 공사했다. 3층의 경우 하나의 입구로 통하면 전부 출입이 가능한데, 5층은 통로를 중심으로 2개로 나누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항온항습이 양쪽에 배치되는데, 문제점은 핫스팟이 도달하는 거리가 10~15미터인데 그것을 넘어선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간에 위치해 있는 서버들은 뜨거운 공기를 식히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버룸을 크게 두 개로 나누고, 항온항습기를 가운데 하나 더 배치함으로써 열섬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레이아웃으로 설계했다고 전했다
.
또한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시스템을 구축, 동절기(11월부터 3월까지)에는 차가운 공기를 유입, 항온항습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냉각설비 동력비용을 절감은 물론 환경친화적인 효율적인 체계를 갖췄다. 기존의 전통적인 데이터센터들은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를 다시 차갑게 만들어 다시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외기 도입시스템의 도입으로 호스트웨이IDC는 기존 방식보다 27.9%의 전력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모듈형 무정전공급장치(UPS) 도입 또한 신축 데이터센터의 대표 특징 중 하나다. 전체 서버룸을 30여 개로 나누어 하나의 UPS가 담당하는 구역이 기존보다 세분화돼, UPS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타 구역은 영향을 받지 않아 장애 위험성이 현저히 낮다. 모듈형 UPS의 도입으로 장애요소를 최소화하고, 초기 투자비를 절감함은 물론 유지보수비도 절감할 수 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
의 구현도 돋보인다. 전산실 내의 UPS, 온습도 감지센서, 항온항습기, 감시카메라, 전력 사용, 냉각탑 설비 등 각각의 설비에 대해 24시간 모니터링하며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축으로 데이터센터의 종합적인 자동화 관리가 가능해졌다.

선도 IDC로 거듭난다

인 터넷이나 IPTV 등 다양한 영역에서 IDC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통신과 방송을 아우르는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IDC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그럼에도 그동안 국내 IDC들은 공간, 전력, 항온항습에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이번 호스트웨이IDC의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은 IDC 업계가 한 단계 도약하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업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호스트웨이 측도 이를 계기로 토털 IT서비스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호스트웨이IDC는 이번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이 세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한다. 첫째는 고밀도 데이터센터 설계 기술이 국내 시장에 대규모로 적용된 첫 사례이고, 둘째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자체적 개선 방안 마련을 통해 그린 IT를 실현했고, 마지막으로 IDC업계를 선도하는 선진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
지난해 300억 원의 매출 올린 호스트웨이 IDC는 올해 350억 원 매출을 계획하고 있다. 엔터프라이즈(IT아웃소싱, 컨설팅)와 리테일(통합보안, 프리미엄 매니지먼트), 모바일(B2C 시장, 서비스 중심 마케팅) 세 가지 영역의 사업 분야에서 고른 실적을 예상하고 있다
.
김 성민 호스트웨이IDC 대표는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인프라와 차별적인 기술력 갖추게 됐다 “2008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신규 서비스 고객을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과 서비스 제공으로 토탈 IT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 IDC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액세스 플로우-하부 배선

Interview

선도적그린IT’
자부심 느낀다

랙당 전력 공급을 두 배로 늘린 이유는?
랙 당 소비 전력은 2006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완화하고 있다. 전기료를 절감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들이 전력을 줄인 것이다. 데이터센터에 있는 90% 이상의 서버들은 1U 계열의 서버들인데, 이들 1U x86서버가 스토리지보다 전력을 더 많이 먹는다. 또한 서버 업체들이 출시하고 있는 블레이드 서버들도 전력 부족의 이유로 채용을 꺼려온 것이 사실인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

외기 도입시스템이 독특한데
….
기존 대비 전력 사용량을 27.9% 절감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은 실치에 가까운 수치이다. 동절기에 실외 낮은 공기 온도를 실내로 유입해 냉방에 활용함으로써 공짜 공기를 쓰는 것이다. 항온항습기들이 전력소비가 많이 드는 이유는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만들어줘야 하기 때문이다. 전산실 내부로 들어갈 때 필요한 공기를 그대로 넣어주는 개념이다
.

모듈형 UPS 시스템을 도입한 이유는
?
UPS
시스템 역시도 기존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개념이다. 대부분 대용량의 UPS들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경우 UPS에 한번 장애가 발생하면 전부 다운될 수밖에 없다. 구역별로 모듈형 UPS 30개의 서버룸에 나누어 배치했는데, 인접 서버룸에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모듈형 UPS는 기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UPS도 언제든지 탈, 부착이 가능하며, 핫스왑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

데이터센터 재구축으로 전기료 산정 방식도 달라졌을 것 같은데
….
전 세계적으로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에 제재를 가하는 것이 추세이다. 전기를 많이 쓰는 데이터센터들이 전기를 깎아달라는 건 어불성설이다. 우리는 무리한 요구를 하는 방식이 아니라 적게 쓰도록 노력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랙에 더 많은 서버가 배치되다 보니 랙당 차지되는 과금체계에 대한 변경이 불가피하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설계된 IDC는 종량제로 변경하기가 힘들다. 시스템들을 모두 스톱시킨 다음에 다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차세대 데이터센터는 전력도 서비스의 일부로 보고 있다.

 

The Green Grid is a consortium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ies and professionals seeking to lower the overall consumption of power in data centers around the globe. The organization is chartered to develop meaningful, platform-neutral standards, measurement methods, processes and new technologies to improve energy efficient performance of global data centers.


Membership to The Green Grid is open to those compan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with an interest in helping to support the movement to improve data center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 overall efficiency.

+ Recent posts